※ 과목명 클릭 시 상세정보가 노출됩니다.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사회복지의 학문적 연구와 실천에 대한 지식을 개괄적으로 소개한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의 개념과 동기, 사회복지의 가치 및 사회복지 발달과정을 먼저 이해한 후에 사회복지의 방법, 사회복지의 다양한 실천분야, 전문직으로의 사회복지 등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전망과 과제를 살펴본다.
현대사회의 특징, 현대 사회 문제의 이론, 사회문제의 대책 등에 관한 토의를 통하여 청소년 문제와 비행의 원인 진단, 실태 파악 및 해결 대책을 강구해봄으로써 청소년 문제 전문가로서의 자질과 역량을 함양시킨다.
복지사업실천의 기반이 되는 인간행동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 인간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발달과정, 성격의 이해 및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환경으로서 가족, 집단, 조직, 그리고 지역사회의 상호작용 등을 학습한다.
효과적인 청소년 지도를 위해 청소년 지도의 방법들을 탐색, 이해하고, 이를 실제적으로 청소년 지도현장에서 문제해결 등에 적용해보는 실습을 수행한다.
사회복지조사의 이론, 방법, 절차, 기술 등을 학습하고 이를 토대로 실제 사회복지 현장에 대한 실태조사를 시행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 사회복지조사의 구체적인 학습내용은 측정, 표집, 조사설계, 설문조사, 면접조사, 관찰법, 질적 연구방법, 욕구 및 평가조사 등이다.
청소년 활동의 개념, 목표, 발달과업, 중요성, 특성 그리고 교육적 의의 등을 살펴보고, 청소년 활동의 영역별 내용과 실천사례를 탐구한다.
사회복지를 실천하기 위한 법적 관계를 체계적으로 규명하여 전문 사회복지사로서의 성장을 도모한다. 구체적인 사회복지법의 분야는 사회보험법(국민연금법, 국민건강보험법, 고용보험법, 산재보험법, 노인장기요양보험법)과 공공부조법(국민기초생활보장법) 등이다.
전문적인 사회복지실천에 필요한 기본적 개념과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사회복지 실천의 이념, 철학 및 기본이론을 이해한다. 사회복지실천 현장에 대한 이해와 아울러 현장에서 활동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 및 기본적 가치 및 윤리를 살펴본다. 또한 사회복지실천과정을 단계별로 나누어 각 단계에 필요한 지식 및 기술의 습득을 통해 통합적 접근 및 사례관리 실천방법을 이해한다.
사회복지사 1급 자격 취득을 위한 교육과정이다. 따라서 8개 과목(인간행동과 사회환경,사회복지조사론,사회복지실천론,사회복지실천기술론,지역사회복지론,사회복지정책론,사회복지행정론,사회복지법제론)을 1,2학기로 나누어 기출 및 예상 문제를 중심으로 팀티칭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