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서는 연구장비의 효율적 운영‧관리 및 과학기술분야 신규 일자리 창출을 위하여 연구장비의 운영‧관리를 전담할 수 있는 국내 최고의 연구장비분야 전문인력양성 교육프로그램을 운영중에 있습니다.
가. 모집부문 : 3개 분야 / 총 120명 선발
- 장비운영 11기, 시험분석 고도화 4기, 연구장비 SW개발 2기
나. 모집기간 : 2021. 12. 1(수) ∼ 12. 29(수)
다. 부문별 모집내용
모집부문 | 장비운영(11기) | 시험분석 고도화(4기) | 연구장비 SW개발(2기) |
개요 | 연구장비 운용·데이터 산출, 기본적 해석이 가능한 전문인력 양성 | 장비의 운용을 통해 고도의 데이터 해석이 가능한 시험분석 전문인력 양성 ※ 장비운영 교육과정의 심화과정 | 연구장비 SW개발과정의 이론부터 실무까지 가능한 전문인력 양성 |
교육 방법 | 20대 핵심교육장비 교육 후, 심화장비 3점 이내 집중 교육 | 본인이 선택한 전문분야 장비(1~2점)에 대해 집중 교육 | 20대 핵심교육장비 교육 후, 심화장비 1~2점 이내 집중 교육 |
교육 장소 | 권역별 8개 전문교육기관 ※ (수도권) 인하대, 성균관대, 경희대, KIST (충청권) KBSI, KRICT (호남권) 조선대 (경상권) 구미전자정보기술원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부산센터, 대구센터 |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
지원 자격 | 이공계열 학과를 전공한 전문학사 이상의 학위취득자 및 2022년 2월 졸업예정자 | 아래 중 하나 이상 자격요건을 갖춘 자 - 이공계열 학과의 석사학위자(예정자 가능) - 연구장비분야 전문인력양성과정* 이수자 * 장비운영, 유지보수, 분석과학, 장비개발(HW) - 대학, 기업 등에서 연구장비 운영 경력이 있는 자 |
모집 인원 | 96명 (전문교육기관별 각 12명) | 12명 | 12명 |
교육 기간 | 2022.1.17.(월) ~ 12.21(수) / 12개월(총 1,840시간, 전일제 09:00 ~ 18:00 교육) |
라. 접수방법 : SEE 홈페이지(https://see.zeus.go.kr)를 통한 응시원서 인터넷 접수
마. 선발절차 : 서류전형(1차) → 면접전형(2차) → 최종합격자 발표
바. 교육개요
1) 우수한 연구장비 및 교육 역량을 보유한 권역별 전문교육기관에서 교육 실시
2) 핵심 연구장비의 운영‧관리 및 결과해석에 대한 실습위주의 집중교육
3) 교육 수료 후 연구장비 관련 기관에 취업연계 지원
사. 문의처
1)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연구장비분야 전문인력양성사업 담당자 : 042-865-3653
2) 전문교육기관
구분 | 소재지 | 전문교육기관 | 특성화분야 | 문의처 |
장비운영 | 서울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특성분석센터 | 나노소재·분리분석 | 02-958-4949 |
용인 | 경희대학교 공동기기원 | 화학원료·의약 | 031-201-3978 |
수원 | 성균관대학교 공동기기원 | 전자현미경 등을 활용한 재료의 표면 형상 및 구조분석 | 031-299-6777 |
인천 | 인하대학교 표준분석연구원 | 미세구조분석, 화학분석, 바이오분석, X선 분석 | 032-860-8719 |
대전 | 한국화학연구원 화학분석센터 | 소재·분리분석 | 042-860-7728 |
대전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연구장비운영부 | 소재·환경·바이오분석 | 042-865-3440 |
광주 | 조선대학교 공동장비운영센터 | 친환경, 재료 | 062-230-7236 |
구미 | 구미전자정보기술원 시험분석연구센터 | 이차전지, 차세대 디스플레이/ 반도체, 소재・부품 특성분석 | 054-479-2174 |
시험분석 고도화 | 부산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부산센터 | 표면특성분석 | 051-974-6141 |
연구장비 SW개발 | 대전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GMA팀 | 연구장비 소프트웨어 | 042-868-5494 |
※ 세부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