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번 | 연수과제명 (총 연구기간) | 연수 책임자 (전화번호) | 업무내용 | 전공분야 | 인원 |
1 | 한국인칩 v2.0 기반 중증만성질환 유전요인 발굴 및 국제협력연구 (2025.1.1.~2027.12.31.) | 김봉조 보건연구관 (043-719-8870) | ⦁한국인 및 다인종 유전체정보 연계 분석을 위한 데이터 표준화 ⦁한국인 및 다인종 유전체정보 통합 메타 분석 및 enrichment 분석 ⦁다양한 오믹스 데이터 기반 질환 원인 인자 발굴 및 진단 연구 | ⦁생물학, 분자생물학, 보건학, 역학, 생물정보학, 전산학 등 관련분야 전공자 | 1 |
2 | 한국인유전체칩 v2.0 기반 임상적용 유전변이의 효과 검증 (2024.1.1.~2025.12.31.) | 김봉조 보건연구관 (043-719-8870) | ⦁임상 진단 및 약물반응 유전자의 구조 분석 및 유전변이에 의한 해당 유전자의 단백질 기능 변형 예측 ⦁한국인유전체칩 v2.0 기반 임상적용 유전변이의 분석 및 해석 자동화 파이프라인 구축 및 공개 | ⦁생물학, 분자생물학, 보건학, 역학, 생물정보학, 전산학 등 관련분야 전공자 | 1 |
3 | 미진단 희귀질환 진단변이 발굴 확대 및 임상 활용 기반 확립 (2025.1.1.~2027.12.31.) | 박미현 보건연구관 (043-719-8871) | ⦁미진단 희귀 유전질환자 대상 유전체/오믹스 데이터 분석 (long-read WGS 등 다양한 유전체 및 전사체 분석) ⦁세부 질환별 임상-유전체 분석을 통한 질환별 원인 변이 발굴 연구 ⦁신규 원인 유전자/변이 특성 분석 및 질환 모델 연구를 통한 기능 검증 연구 | ⦁유전학, 분자생물학, 생물학, 생물정보학, 보건학, 임상병리 등 관련분야 전공자 | 1 |
4 | 미세먼지 노출에 의한 파킨슨병 병리악화 영향 분석 연구 (2024.1.1.~2026.12.31.) | 권문진 보건연구사 (043-719-8636) | ⦁파킨슨병 위험인자로서의 미세먼지 검증 및 미세먼지 노출에 의한 파킨슨병 병리 조절 인자 탐색, 검증 - 파킨슨병 연구 모델(세포, 동물, iPSC 등)에서 미세먼지 노출 시 질환발생·악화 영향 분석 - 오믹스 기반 파킨슨병 병리 특성분석 및 병리조절인자 탐색 - 후보인자 발현 및 신호전달기전 조절을 통한 파킨슨병 병리 개선 연구 - 파킨슨병 코호트 자원 및 파킨슨병 환자 뇌조직 활용 후보인자 타당성 검증 | ㆍ신경생물학, 생화학, 분자생물학, 세포생물학 등 생명과학 관련 전공자 | 1 |
5 | 기능성 및 질병모델 줄기세포 자원 확보 (2023.1.1.∼2025.12.31.) | 조선정 보건연구사 (043-249-2516) | ⦁역분화줄기세포를 이용한 피부세포 분화 및 특성분석 연구 수행 ⦁피부세포 특이적 분화마커발현(KRT14-GFP, Vimentin-RFP) 전분화능줄기세포주 수립 ⦁3차원 바이오프린팅 등 조직공학 제조기술 개발 | ㆍ생물학, 미생물학, 생화학, 유전공학, 분자세포생물학, 면역학 등의 전공자로 세포실험 유경험자 ㆍ줄기세포 배양 및 분화 관련 실험 유경험자 | 1 |
6 | 난배양성 유효 장내 미생물 분리·배양 기술 체계 확립; 난치성 감염질환 치료 후보물질 표적 (2024.1.1.~2026.12.31.) | 김정욱 보건연구사 (043-913-4865) | ㆍ건강인/질환군에서 metagenome, metabolite 비교분석 ㆍ난배양성 미생물 분리·배양, 전장유전체 분석 및 taxonomy 분석을 통해 신종 분류 확인 ㆍ신종 미생물의 치료 효능평가 방법(in vitro/ in vivo) 구축 및 유효성 평가 | ㆍ생물학, 미생물학, 생명공학, 면역학, 분자생물학, 생물정보학 등 관련 분야 전공자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