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회사 개요
가족회사 제도는 지역기업과 대학의 실질적 동반성장을 유도하기 위해 대학의 인프라 및 전문가 Pool 을 활용하여 기업의 기술 · 개발 · 생산 · 마케팅 기업맞춤형 우수인력 양성 재직자 재교육지원 등을 통해 기업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시너지 창출형 산학연협력 프로그램입니다.
가족회사는 대학이 관련 기업들과 유기적인 산학협력 활동을 펼치기 위해 최신 연구기자재 공유 공동연구 개발 기술인력 교류 등의 산학협력 협정을 맺는 제도이며 대학 내에서 공동연구개발 연구장비 공동활용 장비 이용 현장실습 재직자 교육, 대학 장학금 지급 및 지원금 참여 학생 취업연계 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기업과 대학의 긴밀한 산학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상호 상생 협력문화로 발전시켜 혁신인재의 양성 공급 및 기업의 기술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것에 그 목적이 있습니다.

- 기업 : 대학과의 공통연구개발과 기절이전 등을 통해 R&D 역량을 확충하고 필요한 인재를 조기에 확보
- 대학 : 가족사회에 연구인력과 시설 및 장비 등을 제공, 가족회사 수요 기반 교육과정을 개편 졸업생을 가족사회에 취업하도록 연결
가족회사 운영체계
- 기업은 대학의 기술인력 연구실 공용장비 등을 연구개발에 활용
- 대학은 현장기술 인력과 생산설비를 갖춘 기업을 학생의 현장실습 교원의 현장 , 연수 공동연구과제 수행 겸임교수 등으로 활용
- 산업체 현장수요를 반영한 맞춤식 교육으로 현장 적응력이 우수한 전문인력을 양성 기업에 공급하여 기술력 향상에 기여

- 교수 : 산학실적 우대, 기술료 수입
- 교수 → 학생 : 산학기반 맞춤교육
- 교수 → 기업 : 기술개발, 기술이전, 장비지원
- 학생 : 현장실습 지원, 취업연계, 장학금
- 학생 → 교수 : 연구보조
- 학생 → 기업 : 산학 장학금, 현장교수, 실습공간 제공
- 기업 : 기술혁신, 우수인력 확보, 대학장비 활용
- 기업 → 교수 : 겸임교수, 연구비 현장, 정보제공
- 기업 → 학생 : 현장실습, 취업연계, 장학금
가족회사 제도의 기대효과
구분 | 기업 | 대학 |
---|---|---|
기대효과 |
|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산학협력 길라잡이 | 내용 발췌
가족회사 가입절차

유료 가족회사 혜택 안내
구분 | 회비 | 맞춤형 혜택 |
---|---|---|
정액형 | (일반형) 100만원/년 (특별형) 300만원/년 |
|
구독형 | 20만원/인/월 |
|